맨위로가기

아울루스 겔리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울루스 겔리우스는 로마 제국 시대의 작가로, 그의 생애에 대한 정보는 저서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알려진다. 그는 서기 125년에서 128년 사이에 태어났으며, 로마에서 성장하여 수사학, 철학 등을 배우고 사법관직을 역임했다. 겔리우스의 대표작인 《아테네의 밤》은 그가 들었거나 읽은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엮은 책으로, 문법, 철학, 역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고대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으며, 여러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5년 출생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2세기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인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는 안티오키아 출신으로 파르티아 전쟁과 마르코만니 전쟁에서 공을 세워 황실의 일원이 되었고 집정관까지 역임했으며, 콤모두스 암살 후에는 황제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 고대 로마의 문법학자 -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는 고대 로마의 학자이자 작가로, 폼페이우스 지지 정치 활동 후 학문 연구에 전념하여 언어학, 역사학, 농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농업론》과 《라틴어 기원》은 각 분야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로마의 문법학자 - 아테네의 아폴로도로스
    아테네의 아폴로도로스는 기원전 2세기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문법학자, 신화학자, 역사가이며, 주요 저작으로는 《연대기》, 《신들에 대하여》 등이 있으나 대부분 소실되었다.
  • 2세기 사망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사망 - 루키아노스
    루키아노스는 로마 제국 시대에 활동한 시리아 출신 작가로, 다양한 형식을 통해 가벼운 문명 비판과 풍자를 담았으며, 에피쿠로스적 쾌락주의 사상을 드러내고 르네상스 시대 이후 유럽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울루스 겔리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울루스 겔리우스의
야코프 그로노비우스의 "아티카의 밤" 1706년 라틴어판 표지 그림
이름아울루스 겔리우스
출생기원후 125년경
출생지로마?
사망기원후 180년 이후
직업저작가
문법학자
국적로마 공화정
활동 시기고대 로마 백은기

2. 생애

겔리우스의 생애에 관한 유일한 정보는 그의 저작에 기록된 세부 사항이다.[2] 내부 증거에 따르면 겔리우스는 서기 125년에서 128년 사이에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3] 그는 명문 출신이었으며 연줄도 좋았고,[4] 아마도 로마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성장했을 것이다. 그는 147년에 피티아 경기에 참석했고,[3] 상당 기간 아테네에 거주했다.[2] 겔리우스는 티투스 카스트리키우스와 술피키우스 아폴리나리스에게 수사학을, 칼비시우스 타우루스와 페레그리누스 프로테우스에게 철학을 배웠으며, 파보리누스, 헤로데스 아티쿠스, 프론토의 친분과 가르침을 받았다.[2]

그는 로마로 돌아와 사법관직을 맡았다.[5] 그는 프라에토르에 의해 민사 소송의 중재인으로 임명되었고, 그가 기꺼이 문학적 추구에 헌신했을 많은 시간이 결과적으로 사법 업무에 할애되었다.[2]

3. 《아테네의 밤》 (Noctes Atticae)

겔리우스의 유일한 작품은 《아테네의 밤》(Noctes Atticaela)으로, 아티카에서 보낸 겨울밤에 시작하여 로마에서 완성되었다. 이 책은 문법, 기하학, 철학, 역사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메모를 담고 있으며, 20권 중 8권을 제외하고 모두 보존되었다.[5] 안드로클레스 이야기는 이솝 우화집에 종종 포함되지만, 원래 이 책에서 나온 것이다. 레오프랑크 홀포드-스트리븐스는 내부 증거를 바탕으로 이 책의 출판 시기를 서기 177년 또는 그 이후로 추정했다.[3]

《아테네의 밤》은 고대 시대에 아풀레이우스, 락탄티우스, 노니우스 마르켈루스, 아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익명의 저자, 세르비우스, 아우구스티누스 등 많은 작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마크로비우스는 《농신제》에서 겔리우스를 그대로 인용했다.[6]

3. 1. 내용 및 구성

겔리우스의 유일하게 알려진 작품은 《아테네의 밤》(Noctes Atticaela)이다. 이 책의 이름은 그가 아티카에서 보낸 겨울의 긴 밤 동안 시작한 데서 유래했으며, 그는 후에 로마에서 이 작업을 계속했다. 《아테네의 밤》은 그가 대화에서 들었거나 책에서 읽은 특이한 내용들을 적어둔 《Adversaria》 또는 공통 노트에서 편집되었으며, 문법, 기하학, 철학, 역사 및 기타 여러 주제에 대한 노트를 담고 있다.[5] 이 책에 실린 안드로클레스의 우화는 종종 이솝의 우화집에 포함되지만, 원래 그 출처에서 나온 것은 아니었다.

이 작품은 의도적으로 순서나 배열이 없이 20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8권은 색인만 남아 있고 나머지는 모두 보존되었다. 《아테네의 밤》은 그 시대 사회의 본질과 추구를 파악하는 데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사라진 고대 작가들의 많은 발췌문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5]

3. 2. 평가 및 영향

겔리우스의 유일하게 알려진 작품은 《아테네의 밤》(Noctes Atticaela)으로, 그 이름은 그가 아티카에서 보낸 겨울의 긴 밤 동안 시작한 데서 유래했다. 그는 후에 로마에서 이 작업을 계속했다. 이 책은 그가 대화에서 들었거나 책에서 읽은 특이한 내용들을 적어둔 《Adversaria》 또는 공통 노트에서 편집되었으며, 문법, 기하학, 철학, 역사 및 기타 여러 주제에 대한 노트를 담고 있다.[5] 한 이야기는 안드로클레스의 우화인데, 이는 종종 이솝의 우화집에 포함되지만 원래 그 출처에서 나온 것은 아니었다.

의도적으로 순서나 배열이 없는 이 작품은 20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8권만 색인만 남아 있고 나머지는 모두 보존되었다. 《아테네의 밤》은 그 시대 사회의 본질과 추구를 파악하는 데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사라진 고대 작가들의 많은 발췌문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5]

《아테네의 밤》은 고대 시대에 많은 독자들을 만났다. 이 책을 활용한 작가로는 아풀레이우스, 락탄티우스, 노니우스 마르켈루스, 아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익명의 저자, 세르비우스, 그리고 아우구스티누스가 있으며, 겔리우스의 작품이 마크로비우스에 의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가 가장 주목할 만하다. "그는 이름을 언급하지 않고 《농신제》 전체에서 겔리우스를 그대로 인용했으며, 따라서 텍스트에 대해 최고의 가치를 지닌다."[6]

3. 3. 판본 및 번역

초판본은 1469년 로마에서 알레리아의 주교로 지명된 조반니 안드레아 부시에 의해 출판되었다.[7] 가장 초기의 비평판은 1585년 루도비쿠스 카리오에 의해 출판되었으며, 앙리 스테파누스가 발행했지만, 계획되었던 주석은 개인적인 갈등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더 잘 알려진 것은 요한 프리드리히 그로노비우스의 비평판이다. 그는 겔리우스 연구에 평생을 바쳤지만, 1671년 사망하여 그의 작업이 완성되지 못했다. 그의 아들 야코프 그로노비우스는 1687년에 겔리우스에 대한 아버지의 주석 대부분을 출판했으며, 1706년 레이던에서 아버지의 모든 주석과 다른 자료들을 포함한 개정된 텍스트를 출판했다. 이 후기 작업은 "그로노비아나"로 알려지게 되었다. 레오프랑크 홀포드-스트레번스에 따르면, "그로노비아나"는 마르틴 헤르츠의 판(베를린, 1883–85; 동일 저자의 더 작은 판, 베를린, 1886도 있음)이 나올 때까지 백 년 이상 겔리우스의 표준 텍스트로 남아있었으며, 이 판은 C. 호시우스에 의해 1903년에 개정되었고 참고 문헌이 포함되었다. 선집 한 권은 Nall (런던, 1888)에 의해 출판되었으며, 주석과 어휘가 포함되었다. W. 벨로가 번역한 영어 번역본(런던, 1795)과 프랑스어 번역본(1896)이 있다.[5][8] 더 최근의 영어 번역본은 존 카레우 롤페가 뢰브 고전 총서를 위해 1927년에 출판했다. 더 최근에는 피터 K. 마셜의 판(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68, 1990(수정 재발행))이 인쇄본과 디지털(오픈 액세스) 형식으로 널리 보급된 것으로 보인다.[9] 2016년 교토대학 출판회에서 서양 고전 총서로 오오니시 히데후미가 번역한 『아티카의 밤 1』이 출판되었다.

4. 이름 표기 논쟁

프리시안이 사용한 방식인 중세 시대의 《아테네의 밤》 필사본은 일반적으로 저자의 이름을 "아겔리우스"(Agellius) 형태로 표기했다. 락탄티우스, 세르비우스와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A. 겔리우스"(A. Gellius)로 표기했다. 르네상스 시대부터 학자들은 두 이름 중 어떤 것이 정확한지(다른 하나는 아마도 변형되었을 것) 격렬하게 논쟁했고, 현대에 이르러 후자의 이름을 정착시켰다.

참조

[1] 서적 Aulu-Gelle, Les nuits attiques. Livres I–IV Les Belles Lettres 1967
[2]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2010-12-21
[3] 간행물 Towards a Chronology of Aulus Gellius https://www.jstor.or[...] 1977
[4] 서적 Aulus Gellius: an Antonine scholar and his achievement 2003
[5] 백과사전 Gellius, Aulus
[6] 서적 Aulus Gellius Clarendon Press 1983
[7] 서적 Aulus Gelliu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1988
[8] 백과사전 Gellius, Aulus 1905
[9] 서적 A. Gellii Noctes Atticae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